
대출 문턱 낮췄지만 이자 부담은 ‘껑충’…2025년 5월, 금융 대출의 명암
대출 문턱 낮췄지만 이자 부담은 ‘껑충’…2025년 5월, 금융 대출의 명암 김희삼 : 2025. 5. 24. 20:45 ┃ 대출은 쉬워졌지만 이자는 ‘더 무겁게’ ┃ 2030세대, 고금리
김희삼 : 2025. 5. 24. 20:45
┃ 대출은 쉬워졌지만 이자는 ‘더 무겁게’
┃ 2030세대, 고금리 속 대출 의존도 급증
┃ 정책 금융 확대에도 체감 효과는 ‘글쎄’
2025년 5월 현재, 한국의 금융 대출 시장은 금리 인상과 규제 완화가 동시에 진행되며 극심한 변화를 겪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들의 대출 금리는 되려 소폭 상승하거나 고금리를 유지하고 있어 서민과 자영업자들의 이자 부담은 점점 가중되고 있다.
최근 주요 시중은행들은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심사 기준을 다소 완화하는 대신,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 특히 2030세대와 신혼부부를 중심으로 한 정책 금융상품 확대는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으나, 고금리 상황 속에 실질적인 대출 부담은 여전히 크다.
예컨대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025년 5월 기준 연 4.3~5.7% 수준이며, 일부 2금융권은 6%를 넘는 고금리 상품까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대출자는 원리금 상환에 대한 심리적 부담뿐 아니라 실제 소비 여력까지 제한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부채를 늘린 자영업자들은 수익 회복보다 빠른 금리 상승에 ‘이중고’를 겪고 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5월 초 “금융시장 안정과 서민 보호를 위한 합리적 규제 조정”을 발표하며, 생계형 대출자의 연체 리스크 완화를 위한 채무 조정 지원 방안을 내놓았다. 다만 학계에서는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고려하지 않은 완화는 장기적으로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연세대 금융학과 김현정 교수는 “단기적 접근보다는 금리·물가 연계 시스템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금융 소비자들이 금리 비교, 상환 계획 수립, 대출 구조 이해 등을 통해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대출 전 금융감독원의 ‘대출모형 비교 서비스’를 이용해 실질금리 및 부대비용을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2025년 5월 현재의 대출 시장은 저신용자 보호와 고신용자 중심의 자산 양극화라는 두 축 사이에서 균형을 잃지 않기 위한 금융당국과 소비자의 공동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김희삼 기자 sam@khsc3.com
Copyright © HS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출 문턱 낮췄지만 이자 부담은 ‘껑충’…2025년 5월, 금융 대출의 명암 김희삼 : 2025. 5. 24. 20:45 ┃ 대출은 쉬워졌지만 이자는 ‘더 무겁게’ ┃ 2030세대, 고금리
[단독연재②] 법원은 왜 또 수분양자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나 김희삼 : 2025. 5. 24. 17:30 │ 법원은 또 수분양자 주장 기각… 무권대리 책임 부정 │ 계약은
[단독연재 시리즈①] 분양대금 반환 소송 패소 확정… 법원은 왜 외면했나 김희삼: 2025. 5. 23. 10:54 │ 내 상가가 사라졌다… 분양대금 반환 소송, 대법원 패소 확정
‘시드니의 심장, 하버 브릿지…걸어서 건너는 순간, 호주가 다르게 보인다’ 김희삼: 2025. 5. 23. 15:20 ┃ 시드니의 상징, 하버 브릿지 위에서 360도 항만 전망을 만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