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로우핸드의 질주” – 블루스와 록, 그리고 삶을 노래한 기타의 전설 에릭 클랩튼
“슬로우핸드의 질주” – 블루스와 록, 그리고 삶을 노래한 기타의 전설 에릭 클랩튼 김희삼 2025. 07. 26. 19:10 │ ‘슬로우핸드’, 블루스와 록을 잇는 기타의 전설│ ‘Tears
김희삼 2025. 08. 21. 14:21
│ 호주 정부, 2025년 복지급여 대폭 인상…청년·간병인 지원 확대
│ 7월부터 JobSeeker·Age Pension 등 2.4% 인상 확정
│ 8월 15일부터 월 550달러 생활비 보조금 자동 지급
│ 유급 부모휴가 24주로 확대, 2026년엔 26주까지 늘려
│ 9월 연례 인상으로 연금·장애인 수당 격주 최대 29.70달러 추가
호주 정부가 2025년부터 2026년에 걸쳐 센터링크(Centrelink) 복지제도를 대폭 강화하면서 수혜자들의 생활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제도를 도입한다. 이번 개편은 물가 상승과 생활비 부담 완화라는 사회적 요구에 맞춘 것으로, 연간 수백만 명의 호주인이 직접적인 혜택을 누리게 될 전망이다.
올해 1월 1일부터 이미 Youth Allowance, Austudy, Carer Allowance 등이 인상되었으며, 이는 학업 중인 청년과 저소득층, 간병인 가정의 부담을 덜기 위한 조치였다. 이어 3월에는 약 500만 명을 대상으로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연례 지급액 조정 되었다. 호주 재무부와 복지부는 이번 조치가 특히 저소득 가정과 연금 수급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했다.
2025년 7월 1일부터는 광범위한 복지급여가 2.4% 인상되었다. Age Pension(연금), JobSeeker(구직수당), Disability Support Pension(장애인 연금) 등이 이에 포함된다. 특히 Paid Parental Leave(유급 부모휴가)는 24주로 확대되며, 지급액에 슈퍼애뉴에이션(superannuation·연금)이 포함되는 변화도 도입된다. 정부는 2026년에는 이 제도를 26주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가장 큰 관심은 오는 8월 15일부터 시작되는 월 550달러 비용부담 완화 지원금(Cost-of-Living Subsidy)이다. 이는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자동으로 지급되며, 수혜자 대부분이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생활비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이번 추가 지원은 ‘가계 숨통 트이기’ 정책으로 불리고 있다. 일부 수급자들에게는 상황에 따라 250달러에서 최대 1,300달러까지의 추가 일회성 지급금도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오는 9월 20일부터는 Age Pension, Disability Support Pension, Carer Payment 등 주요 복지수당이 연례 인상에 따라 격주 최대 29.70달러까지 추가 지급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연속적 인상 조치가 “호주 복지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사회적 양극화 완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한편,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복지 확대가 재정 지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향후 예산 운용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다수의 사회학자와 복지단체들은 이번 변화가 사회적 취약계층의 생존권 보장을 넘어, 호주 사회 전반의 균형 발전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라 평가하고 있다.
혜택 종류 | 지급액 (2025년 기준) | 지급 주기 | 자격 요건 | 비고 |
---|---|---|---|---|
Age Pension (노령 연금) |
| 2주 | 67세 이상, 소득 및 자산 테스트 통과, 호주 거주 요건 충족 | 2025년 3월 20일부터 인덱싱 적용 (+$4.60/싱글, +$7.00/커플). 에너지 보조금 포함. |
JobSeeker Payment |
| 2주 | 22세 이상, 구직 활동 중, 소득 및 자산 테스트 통과 | 2025년 3월 20일 인덱싱 적용 (+$3.10~$3.30/2주). 에너지 보조금 포함. |
Youth Allowance |
| 2주 | 16~21세 (또는 특정 조건하 24세 미만), 학생/구직자, 소득 및 자산 테스트 통과 | 2025년 1월 1일 인덱싱 적용. 렌트 지원 및 재배치 장학금 가능. |
Austudy |
| 2주 | 25세 이상, 풀타임 학생/견습생, 소득 및 자산 테스트 통과 | 2025년 1월 1일 인덱싱 적용. 렌트 지원 가능. |
Carer Payment |
| 2주 | 중증 질환/장애인을 돌보는 자, 소득 및 자산 테스트 통과 | 2025년 인덱싱 적용. 추가 일회성 지원 가능. |
Disability Support Pension |
| 2주 | 영구적 장애/질병, 소득 및 자산 테스트 통과 | 2025년 3월 20일 인덱싱 적용. |
Family Tax Benefit Part A |
| 2주 | 자녀 양육 가구, 소득 테스트 통과 | 2025년 7월 1일 2.4% 인덱싱 적용. 최대 $938.05/자녀. |
Family Tax Benefit Part B |
| 2주 | 단일 양육자 또는 특정 가구, 소득 테스트 통과 | 2025년 7월 1일 2.4% 인덱싱 적용. |
Paid Parental Leave |
| 유연 지급 | 출산/입양 부모, 소득 테스트 통과, 근무 조건 충족 | 2025년 7월 1일 24주로 연장, 2026년 26주로 확대. |
Rent Assistance |
| 2주 | 특정 센터링크 혜택 수령자, 임대료 지불 | 2025년 인덱싱 적용. |
Energy Supplement |
| 2주 | Age Pension, JobSeeker 등 주요 혜택 수령자 | 전기/가스 비용 지원, 자동 지급. |
One-off Payments |
| 일회성 | Age Pension, JobSeeker, Youth Allowance, Parenting Payment, 보훈연금 또는 양여금 카드 소지자 | 자동 지급, 신청 불필요. |
Electricity Rebate |
| 연간 | 저소득/중소득 가구, 특정 센터링크 혜택 수령자 | 전기 요금 청구서에 직접 적용, 센터링크를 통하지 않음. |
혜택 종류 | 지급액 (2025-2026년 기준) | 지급 주기 | 자격 요건 | 자녀 수에 따른 변동 | 비고 |
---|---|---|---|---|---|
Parental Leave Pay | 최대 24주 (120일), $189.62/일 (약 $948.10/5일 주, 총 $24,000 내외) | 유연 지급 (최대 24주 내) |
| 다태아(쌍둥이 등)의 경우 한 자녀에 대해서만 지급 | 2025년 7월 1일 24주로 연장, 2026년 7월 1일 26주로 확대. 파트너와 공유 가능 (2025년 7월부터 파트너 예약 15일). |
Newborn Upfront Payment | $667/자녀 | 일회성 |
| 자녀 수에 따라 반복 지급 (각 자녀당 $667) | 비과세, Family Tax Benefit Part A와 함께 지급. |
Newborn Supplement |
| 13주 또는 2주 (다태아) |
| 첫 자녀는 더 높은 금액, 후속 자녀는 감소. 다태아는 추가 보조금 | Family Tax Benefit Part A와 연계, 2주 단위 또는 연말 일시불 선택 가능. |
Family Tax Benefit Part A |
| 2주 또는 연말 일시불 |
| 자녀당 지급, 자녀 수에 비례해 총액 증가 | 2025년 7월 1일 2.4% 인덱싱 적용. |
Family Tax Benefit Part B |
| 2주 또는 연말 일시불 |
| 가구당 1회 지급, 자녀 수에 따라 변동 없음 | Parental Leave Pay 수령 시 중복 불가. 2025년 7월 1일 2.4% 인덱싱 적용. |
Multiple Birth Allowance |
| 2주 |
| 다태아 수에 따라 금액 증가 | 자녀가 6세까지 지급, 특정 조건하 16세까지 연장 가능. |
Stillborn Baby Payment | $4,090.80 (2025년 기준) | 일회성 |
| 자녀 수에 따라 반복 지급 | 비과세, 2025년 인덱싱 적용 가능. |
참고: 정확한 지급액과 자격 요건은 개인의 소득, 자산, 가족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myGov 계정 또는 Services Australia(전화: 136 150)를 통해 확인하세요.
김희삼 기자 sam@khsc3.com
Copyright © HS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슬로우핸드의 질주” – 블루스와 록, 그리고 삶을 노래한 기타의 전설 에릭 클랩튼 김희삼 2025. 07. 26. 19:10 │ ‘슬로우핸드’, 블루스와 록을 잇는 기타의 전설│ ‘Tears
“음악으로 세상을 흔든 4인조, 비틀즈 다시 듣기” – 그들이 세운 문화의 다리 김희삼 2025. 07. 26. 14:45 │ 리버풀에서 시작된 4인조, 전 세계 음악을 흔들다│
관리비 절약도 품질도 잡는다: 아파트 관리업체 선택법 A to Z 김희삼 2025.07.26. 14:20 ┃ 관리비 구조와 디스버스먼트, 무엇이 다른가┃ 유령 수수료·리베이트…투명성 논란 확산┃ 전문 인력과
“호주 스트라타 관리, 한국 아파트 관리와 어떻게 다를까?” — 제도부터 일상관리 방식까지 한눈에 보기 김희삼 2025.07.25. 10:32 ┃ 스트라타 vs 한국 아파트 관리, 제도 구조
호주 집, 보이지 않는 적을 막아라 – 흰개미와 곰팡이, 어떻게 예방하고 관리할까? 김희삼 2025.07.25. 10:23 │ 호주 주택, 흰개미 피해 연간 수억 달러 발생 │
고독을 사랑하는 철학자, 안병욱이 들려주는 ‘살아 있음’의 의미 김희삼 2025. 07. 25. 07:33 │ 안병욱, “철학은 삶을 위한 가슴 뜨거운 사유”│ 『인생론』에서 찾는 고독과 인간다움의
“MS 서버 400곳 뚫렸다”…중국계 해커조직, 핵안보기관까지 침투 김희삼 2025.07.24. 10:10 │ 중국계 해킹그룹, MS 온프레미스 SharePoint 수백 곳 공격│ RBA 패치 불완전…기밀 유출·백도어 우려 지속│
경매 입찰 참여자 1순위는 MZ세대…“실거주 겸 투자, 플랫폼 통해 접근” 김희삼 2025. 07. 24. 10:15 ┃ 경매 시장 주도하는 MZ세대…30~40대 입찰자 비중 절반 넘겨 ┃
공매 시장에 쏟아지는 상가·오피스…“공실→공매→투자기회” 패턴 부각 김희삼 2025. 07. 24. 09:30 ┃ 상가·오피스 공실 급증…공매 물량 상반기 6,500건 돌파 ┃ 유찰 후 반값 낙찰 사례
“LH·SH 공매 폭탄”…공공기관 부동산 대거 매각, 재정건전화 압박 드러났다 김희삼 2025. 07. 24. 08:15 ┃ LH·SH, 유휴 부동산 1조 원 규모 공매…재정 압박 본격화 ┃
법원 경매 물건 수 2개월 연속 증가…“고금리 여파 부동산 자산 리스크 현실화” 김희삼 2025. 07. 24. 07:30 ┃ 법원 경매 건수 두 달 연속 증가…한계
“메탈 황제의 마지막 인사…” 오지 오스본, 파킨슨병 투병 끝에 별세 김희삼 2025.07.23. 21:00 │ ‘Prince of Darkness’ 오지 오스본, 향년 76세로 별세│ 파킨슨병 투병 중
“삶에 ‘왜’가 있다면, 우리는 어떤 ‘어떻게’도 견딜 수 있다” – 빅터 프랭클이 전하는 생존의 철학 김희삼 2025. 07. 23. 17:05 │ 프랭클, 수용소 속에서도 “삶의
시지프는 왜 반항하는가… 카뮈가 말하는 삶의 부조리와 해방 김희삼 2025. 07. 22. 17:42 │ 카뮈가 말하는 삶의 부조리, “그러나 살아야 한다”│ 시지프는 왜 돌을 굴리며
“애절한 ‘미련’으로 남은 목소리” – 장현, 포크 감성으로 다가선 트로트 싱어의 이야기 김희삼 2025. 07. 23. 12:55 │ 장현, 포크와 트로트를 넘나든 감성 싱어의 귀환│